광주 버스 첨단40

덤프버전 :





파일:IMG_9419.png


1. 노선 정보
2. 개요
3. 역사
4. 특징
5. 연계 철도역



1. 노선 정보[편집]


파일:광주광역시 휘장_White.svg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첨단40번
[ 지도 노선도 보기 ]
파일:광주첨단40노선도.svg

기점
[승차] 광주광역시 북구 월출동(고내입구)
[하차] 광주광역시 북구 월출동(첨단공영차고지)
종점
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산동(도산우방아이유쉘)
종점

첫차
06:00
기점

첫차
06:00
막차
22:00
막차
22:00
평일배차
20~30분
주말배차
25~45분
운수사명
대창운수
인가대수
9대
노선
첨단공영차고지 - (→ 고내입구 →) - 광주이노비즈센터 - 전남과학대학포스트비 - 한국광기술원 - 광주테크노파크후문 - 광주테크노파크 - 첨단삼성전자 - 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입구 - 첨단1동행정복지센터 - 첨단라인8차아파트 - 방통대 - 무양서원 - 보훈병원 - 신창호반아파트 - 진흥고 - 보건대후문 - 신창부영1차아파트 - 신창동우체국 - 신가우미아파트 - 신가주공아파트 - (→ 극락강역입구 →) - 목련마을 - (→ 목련마을6단지 →/← 금구초교 ←) - 풍영정천1교 - 월곡시장 - 월곡일신아파트 - 하남중 - 광주여자대학교 - 우산빛여울채아파트(서) - 광주경찰청입구 - 광주경찰청 - 소촌라인2차아파트 - 아리랑고개 - 송정IC - (← 송정파출소(남) ←) - 송정모아아파트 - 도산동행정복지센터 - 공군부대 - 도산동


2. 개요[편집]


대창운수에서 운행 중인 지선노선. 전체 정류장 목록


3. 역사[편집]


  • 구 120번(도산동 - 소촌공단 - 하남공단 - 비아)이 전신이다. 송정리, 하남의 주택단지와 하남공단을 이어주는 통근버스의 성격이 컸다. 이 때 120번의 공단 노선은 지금의 첨단92와 약간 유사하다. 노선의 역사가 그렇게 오래되지는 않은 모양인지 IMF의 이전의 광주의 시내버스 노선이 한결같이 근성을 자랑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비하면 상당히 짧은 편이었다.

  • 이후 첨단지구가 생기면서 종점이 비아에서 첨단으로 이전했지만 새로 추가된 정류장의 개수는 채 5개를 넘기지 않았다.[1] 노선번호 개편당시의 번호는 705번으로 가운데자리에 0이 들어간 노선은 이것이 유일하다.[2]

  • 이후 광산구에 새 택지지구들이 들어서면서 수요는 급증했지만, IMF의 된서리를 맞고 차량이 2대로 줄어들어 배차간격이 크게 벌어졌고, 2004년까지 차량 댓수는 그대로였다.

  • 결국 민원을 견디다 못한 광산구청에서 70번과 75번 마을버스에 한정면허를 인가하면서 120번의 수요를 충족시켜야 했다. 이 과정에서 시내버스 업체에서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소했다. 관련 기사 이후 70번은 번호만 바뀌었고, 현재도 잘 다니고 있다.

  • 2004년에 소촌공단과 하남산단 대신 신가지구, 신창지구, 평동산단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변경하였고, 차량도 다량 늘어나 15~20분 간격으로 다니기 시작했다.

  • 첨단2지구와 신창지구의 개발이 진전되면서 경유도로가 살짝 변경되었다.

  • 2006년 개편 당시에는 대진운수가 맡아서 운행하였으나, 2007년에 부활한 구 1번에 대진운수 소속의 대형 차량들이 대거 투입되면서 대창운수가 운행하기 시작하였다. 이 때부터 10분 이내였던 배차간격이 크게 늘어나기 시작했고 간선에서 지선으로 격하됨에 동시에 중형차량들이 대거 투입되었다.

  • 또한 2007년 2월에 폐선된 첨단93번과 통합되면서 도산동에서 평동역까지 연장되었지만[3] 얼마 못 가 같은해 4월에 다시 도산동으로 환원되었다.

  • 2012년경 차량 재분배 이후 라정시내버스와 공동 배차를 하였으나, 2015년경 대창운수 단독 운행으로 다시 변경되었다. 대신 대창운수는 송정196번에서 철수하였다.

  • 2021년 7월 31일 부터 첨단산단 접근성 향상을 위해 한국광기술원 쪽으로 직행하지 않고 광주이노비즈센터 쪽으로 구간을 변경하여 운행한다. 이에 따라 기존에 정차하던 대촌마을입구 정류장은 더이상 정차하지 않고, 도산동 행 한정으로 정차하던 고내입구 정류장 역시 대촌마을입구 방향(4007)이 아닌 월정 방향(4008) 정류장을 정차하게 된다.


4. 특징[편집]


  • 지원152번처럼 충분한 수요를 이끌어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차간격이 발목을 잡고 있다.

  • 광산구의 아파트단지들을 많이 지나고 위 노선이 연변에 위치한 학교가 상당히 많다. 고등학교만 5개를 지나다 보니 학생들 통학 수요가 만만치 않다. 문제는 이것만으로도 모자라서 비슷한 경로로 마을버스가 다닐 정도이다. 33번과 함께 송정리에서 첨단지구를 가는 딱 둘뿐인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지만, 경유지를 보면 차라리 송정33번, 720번이 더 빠르니 주의하기 바란다.[4]

  • 마을버스 750-1번[5] 폐선 이후에 버스가 지나다니지 않게 된 소촌동 라인2차 아파트와 광주지방경찰청 구간을 마을버스 720-1번[6], 봉선37번을 거쳐 유일하게 경유하는 노선이다.

  • 주말에는 배차간격이 엄청 늘어난다. 학생수요 외에는 수요가 그다지 없는 듯 하다.

  • 선형이 비슷한 노선인 720번보다 더 굴곡진 편이다. 때문에 720번과 비교당한다. 서로의 포지션이 바뀌었기 때문이다.[7]

  • 지하철역하고 연계가 되긴 하지만 간접으로만 연계되어서 도보로 상당히 걸어가야만 한다... 송정IC 정류장에서 송정29번으로 환승하는 것이 낫다.

5. 연계 철도역[편집]


  • 파일:광주 1호선 아이콘.svg 광주 도시철도 1호선: 도산역[8], 송정공원역[9]
  • 일반 철도역: 극락강역[10]

파일: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.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14 00:51:20에 나무위키 광주 버스 첨단4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[1] 한때 소촌공단이 종점이었던 적도 있었으니 지금보다도 더 짧았다.[2] 1순환도로 외곽을 의미하는데 그만한 버스가 이것 뿐이었다.[3] 체계 개편전에도 운행한 적이 있다.[4] 송정33번은 월곡동과 첨단지구 쪽을 제외하면 굴곡이 별로 없는 비교적 깔끔한 선형이다.[5] 본 노선과 거의 유사한 노선으로 첨단에서 상무지구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었다가 이후 도산동으로 변경되었다. 2006년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이후 얼마 못가 폐선되었다.[6] 2014년 신설된 720-1번과는 완전히 다른 노선이다. 이쪽은 2008년 신설된 후 소리소문없이 폐선됐다.[7] 지금의 첨단40번 선형은 마을버스 선형 맞다. 2007년까지 있던 마을버스 750번이 운행 회사의 폐업으로 폐선되자 이 노선이 750번 노선을 이어받았기 때문. 반대로, 지금 720번의 송정IC 이북 노선이 바로 첨단종점 이설 전의 120번 노선과 100% 일치한다. 120번은 송정IC에서 그대로 송도로로 빠져 평동산단(후에 도산동 종점으로 환원)으로 갔고, 720번은 2006년 개편 이전의 구 36번 선형대로 시공무원교육원을 거쳐 하남2지구로 가는 게 차이점일 뿐.[8] 도산파출소 하차 후 도보로 이동.[9] 송정파출소 하차후 도보로 이동하며 주의할 점은 첨단 방향만 정차하니 주의.[10] 극락강역 입구는 도산동 방향만 정차, 첨단 방향은 신가사거리에서 도보 후 이동.